The most-visited 한국어 Wikipedia articles, updated daily. Learn more...
키르기스 공화국(키르기스어: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 크르그스 레스푸블리카스, 러시아어: Кыргыз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키르기스스카야 레스푸블리카[*], 문화어: 끼르기즈 공화국), 약칭 키르기스스탄(키르기스어: Кыргызстан 크르그스스탄, 러시아어: Киргизия 키르기지야[*], 문화어: 끼르기즈스딴, 끼르기지야)은 중앙아시아 내륙의 공화국으로 소련의 구성 공화국이었다가 1991년에 독립한 국가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과 마주하고 있다. 2005년까지는 혁명과 내전으로 정국불안이 이어졌다.
타이완, 중국 타이베이, 또는 차이니스 타이베이(영어: Chinese Taipei, 약칭 TPE)는 국공 내전에 패하여 망명된 이후의 중화민국이 국제 기구에 가입할 때 주로 사용하는 대체명칭이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타이완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국제 사회에 영향력이 큰 중화인민공화국이 국제 사회에서 주권 국가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국호 “중화민국”(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 또는 “타이완”(臺灣, Taiwan)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수반하여 중화민국의 국기, 중화민국의 국가 등 중화민국의 상징물도 제한된다.
태풍 볼라벤(태풍 번호: 1215, JTWC 지정 번호: 16W, 국제명: BOLAVE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lian)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이자 제4호 태풍 구촐, 태풍 비센티, 태풍 덴빈에 이어 4번째 4등급 태풍으로 중심기압이 910 hPa까지 도달했다. 태풍 볼라벤은 제14호 태풍 덴빈과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해 중국으로 서진하게 되는 초기 예상진로가 한반도로 북서진하게 되는 진로로 바뀌어 한반도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대한민국에서 19명이 숨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59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태풍(颱風, 영어: Typhoon)은 북태평양 서쪽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TC:Tropical Cyclone)의 한 종류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2 m/s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7월~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고위도로 북상하면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그리고 미크로네시아 일부에 영향을 준다. 발생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북태평양 동부와 북대서양 서부에서 발생하면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양과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cyclone)이라고 한다.
위키백과(Wiki百科, IPA: [ɥikçibɛ̝k̚k͈wa̠], [ykçibɛ̝k̚k͈wa̠] ( )) 혹은 위키피디아(영어: Wikipedia 위키피디어[*], IPA: [ˌwɪkɪˈpiːdɪə] ( ))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며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다언어판 인터넷 백과사전이다. 2001년 1월 15일 지미 웨일스와 래리 생어가 시작하였고, 대표적인 집단 지성의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위키백과의 운영은 비영리 단체인 위키미디어 재단이 하고 있다. 2016년 5월 기준, 영어판 532만여 개, 한국어판 424,522개를 비롯하여 290여 언어판을 합하면 4천만 개 이상의 글이 수록되어 있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태풍 산바(태풍 번호: 1216, JTWC 지정 번호: 17W, 국제명: SANB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Karen)는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6번째 태풍으로, 2012년 태풍 중에서 가장 강력한 태풍이다. 태풍 산바는 중심 기압이 900 hPa까지 떨어져, 885hPa (대한민국 기상청은 890 hPa로 관측)을 기록한 2010년의 태풍 메기 이후 가장 강한 태풍이 되었다. 제14호 태풍 덴빈, 제15호 태풍 볼라벤 이후 제16호 태풍 산바까지 3개의 태풍이 연속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최초 사례가 되었고, 7월에 상륙한 제7호 태풍 카눈을 더해서 1962년 이후 50년 만에 한 해에 4개의 태풍이 상륙한 기록을 세웠다.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은 친노 친문 파워블로거이자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 대표 김동원(필명: 드루킹)을 비롯한 경공모 회원이자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들이 인터넷에서 각종 여론조작을 하였다는 혐의 및 의혹이 불거진 사건이다.2018년 3월, 최초에 이들 일당은 정부 여당에 인사 청탁한 것이 거부된 것에 반감을 갖고,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문재인 정부를 비방하는 여론조작 활동을 한 것이 적발되었다. 이후 경찰 조사를 통해, 기존 혐의 외에 19대 대선 이전부터 문재인 당선과 옹호를 위해 인터넷 포털과 커뮤니티 등지에서 조직적인 여론조작을 해왔다는 구체적인 증거도 확보되었다. 또한, 여러 증거를 통해 드루킹 일당이 문재인 정부 및 민주당의 주요 인사들과 연관이 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이 사건에 대하여 더불어민주당은 민주당의 고발로 인하여 적발된 선거 브로커의 개인 일탈 행위로 규정하고, 관련 의혹에 대한 선긋기에 나섰으나, 주범인 드루킹 본인은 이 사건의 최종책임자로 민주당 김경수를 지목하였다.
《올인》(All in)은 2003년 1월 15일부터 2003년 4월 3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24부작 드라마이며 최완규 작가의 카지노 3부작 중 제1부이다 드라마의 배경은 제주도로 카지노와 도박을 중심축으로 삼아 사랑과 운명을 건 대결을 벌이는 두 남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실존 인물 차민수를 모델로 그의 일대기를 그린 노승일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초기에는 시청 등급이 15세 이상 시청가였으나, 도박과 관련된 소재를 담고 있어서 19세 이상 시청가로 상향 조정되면서 청소년 보호법상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고시하였다.한편, 금연 선언 이전인 2002년 9월부터 촬영에 들어갔는데 방송 초기 주요 배우들이 잇달아 담배를 물었지만 시청자의 양해를 구하는 자막고지를 달고 그대로 방영하여 호된 비판을 받아야 했다.
헬라 세포(HeLa cell, /ˈhiːlɑː/)는 무한하게 증식하는 세포주로 과학 연구에서 가장 오래되고 흔하게 사용되는 세포주이다. 헬라 세포주는 1951년 2월 8일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라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세포에서 유래하였으며, 연구에서 쓰이는 다른 세포주에 비하여 내성이 있고 증식력이 높다.1940년대에 실험에 쓰인 사람 세포는 며칠 채 생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실제 실험보다 실험에 필요한 세포를 살리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헨리에타의 종양에서 세포를 얻은 조지 가이(George Otto Gey)는 헨리에타의 세포 일부가 살아서 증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베이비복스(Baby V.O.X - 영어: Baby Voice Of eXpression)는 김이지, 이희진, 심은진, 간미연, 윤은혜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5인조 여성그룹이다. 1997년, 한국의 스파이스 걸스라는 타이틀을 달고 첫번째 앨범 《Equalize Her》을 발표하며 가요계에 야심차게 등장하지만 저조한 판매고를 기록하며 부진을 겪었고 초창기 멤버 3명이 탈퇴해버리는 실패를 경험한다. 1년 뒤 심은진과 이가이를 영입하고 2집 앨범 《BABY VOX II》를 발표하는데 이 앨범에서 <야야야>, <Change> 등의 대박 반응을 얻으며 대중들의 관심을 얻기 시작한다.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 영어: Bangtan Boys, 일본어: 防弾少年団, 중국어: 防弹少年团, BTS)은 대한민국의 7인조 보이 그룹으로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소속이며 '방탄소년단'이라는 이름의 '방탄'은 총알을 막아낸다는 뜻으로 10대에서부터 20대들이 사회적 편견과 억압을 받는 것을 막아내고 당당히 자신들의 음악과 가치를 지켜내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방탄소년단을 지칭하는 ‘BTS’는 bulletproof boys라는 뜻이다. 2016년 7월 빅히트에서는 방탄소년단과 팬클럽 아미(ARMY)의 변경된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모션 그래픽 영상을 깜짝 공개하면서 과거와 미래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확장 시킨 ‘BTS’에 대한 정의를 내렸고 로고를 바꾼 이후 Beyond The Scene이라는 뜻도 같이 추가했는데, 현재는 주로 이 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